독일 베를린으로 이직하게 되었습니다. 회사에서 도움을 준다 했지만 서류 준비는 본인이 해야 하니 하나씩 챙기고 있었고, 결국 혼자 모든 것을 처리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 대부분 독일 입국 준비로 마음고생 많으실 텐데, 단계별로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른 분들의 블로그 또는 다음 제 글(맨 아래에 링크 있어요)을 참고해 주세요. Intro. 일단 마음 준비부터.예약 Termin 문화우리나라는 관공서나 은행에 가서 번호표를 뽑고 기다리지만, 독일에서는 미리 온라인으로 방문 날짜와 시간을 예약한 후 예약 시간에 방문하여 예약번호가 호출될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입니다. 물론, 예약한 시간에 호출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런데 그 예약 잡기가 예전 수강신청에 비교도 안될 만큼 어렵지만 ..
우리나라 국민은 비자 없이 대부분 국가에 90일 정도는 체류할 수 있다고 알고 계시죠. 사실 무비자 체류가 가능한 나라는 1) 쉥겐 국가 이거나 2) 우리나라와 그 나라 사이에 사증(=비자) 면제 협약을 맺은 경우입니다. 해외, 특히 유럽에서 장기 체류한다면 이 두 가지를 잘 알아두어야 하는데요, 이 부분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쉥겐 지역(Schengen Area) 유럽지역 26개 국가들이 여행과 통행의 편의를 위해 협약을 맺어 마치 국경이 없는 한 국가를 여행하는 것처럼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한 협약입니다. 현재 쉥겐국가는 총 26개인데, 하나씩 열거해보면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몰타, 벨기에, 스위스, 스웨덴, 스페..
우리가 이사를 가면 전입신고를 하듯 해외 장기 체류 시 거주지 변경에 대한 신고를 해야 하는데요.이때 할 수 있는 신고는 3개(해외체류신고, 재외국민신고, 해외이주신고)가 있습니다.종류에 따라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처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잘 알아보고 신고해야 합니다.이름도 비슷하여 헷갈리는데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체류신고• 90일 이상 해외에 체류할 목적으로 출국하려는 경우 출국 후에 속할 세대의 거주지를 미리 신고할 수 있는 제도 - 마땅히 주소지를 옮길 곳이 없다면 해당 동의 '주민센터'로 지정 가능 * 친척 등 타인 주소지로 옮길 경우 타인은 세금 문제(1가구 2주택)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민센터로 지정하는 것이 좋음 • 방법: 정부24 해외체류신고(바로가기) - 준비물:..
얼마 전 해외에서 한국 TV 보는 사이트를 소개드린 적이 있습니다.사용하다 보니 비디오가 열리지 않는 등등의 불편이 있어다른 사이트들 몇 개를 둘러보고 쓸 만한 사이트를 발견하여 적어봅니다.무료로 회원가입이 필요 없이 다운로드도 없는 사이트만 정리했습니다. kokoa.tv예능, 드라마, OTT드라마 등 다양한 최신 TV 프로그램은 물론 영화도 빨리 업로드됩니다.광고가 있긴 한데 그래도 애드센스류라 봐줄 만 합니다.몇 번의 클릭 후 재생 버튼을 누르면 광고 없이 바로 방송이 뜨고 일시정지도 되고'주의 요함' 등의 메시지가 뜨지 않아 다소 안심도 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깔끔한 구성, 재생 버튼을 누르면 바로 재생, 보안상 안전해 보임👎🏻 약간의 광고(메인 페이지에만 있고 동영상 볼 때는 없음) 코..
예제) 차종별 실린더 개수에 따른 mpg에 대해 점도표 그려보기 dotchart(mtcars$mpg, labels=row.names(mtcars), cex=0.8) ✔︎ dotchart(x축, y축) *plot: 연속형 데이터, dotchart: 이산형 데이터 ✔︎ labels: 해당 축 data 범례 ✔︎ row.names(xyz): 항목명 없는 행에 이름 부여 ✔︎ cex: 폰트 크기 ✔︎ order(a) : a 크기 순서로 정렬 carmpg
#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 χ2 검정) 카이제곱 분포에 기초한 통계적 방법으로, 관찰된 빈도가 기대되는 빈도와 의미있게 다른지의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사용 자료가 빈도로 주어졌을 때, 특히 명목척도 자료의 분석에 이용된다. χ2 = Σ (관측값 - 기댓값)^2 / 기댓값 귀무가설 하에서의 검정통계량이 카이제곱분포를 따를 때 검정통계치가 카이제곱분포 하에서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면 귀무가설(H0)을 기각하고,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면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는다. 이 때 일어날 법한 일인지, 희귀한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유의수준과 p-값이다. * p-value < 0.05 : 유의한 차이 (요즘은 0.005 이하 기준 쓰기도) * 자유도(df) = (r-1)(c-1) *하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