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장기 체류할 경우, 국민건강보험료가 면제된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모든 사람, 모든 조건에 해당하는 사항은 아니라 내용을 잘 알아야 불필요한 납부를 피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건강보험료 납부 면제 조건 국민건강보험법 제74조 (보험료의 면제) 및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44조2 (보험료가 면제되는 국외 체류기간)에 조건이 나와 있습니다: 👉🏻 직장가입자는 업무상 이유로 1개월 이상 해외에 체류하면서, 국내에 거주하는 피부양자가 없을 때에만 보험료가 면제됩니다. 이는 직장가입자가 해외에 있어 보험료를 내지 않는데, 피부양자들이 한국에 살면서 보험금을 받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 지역가입자는 3개월 이상 연속으로 국외에 체류하는 경우, 그..
해외 장기체류 예정인 사람들이 한국에 있는 동안 핸드폰 및 인터넷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 봅니다. 물론 한국에서 계속 지내는 분들도 상황에 따라 이 방법을 활용하면 최저가로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 핸드폰 요금제 약정으로 묶여있지 않는 한 보통은 최저 요금제로 바꾸는 것만 생각하는데요, 하나 더 생각할 것이 있습니다.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 원래 쓰던 요금제 또는 다른 요금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최저 요금제는 보통 데이터 제공량이 거의 없다시피 하니 생활하기 불편하니까요. 따라서 두 가지 방법 중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1. 해외 나가기 전에 최저 요금제로 변경, 한국 돌아와서 내게 맞는 요금제로 변경 하나의 전화번호로 요금제만 변경해 가며 사용하..
독일에 체류하려고 할 때, 또는 다른 도시/국가로 떠나려고 할 때 전입/전출 신고를 위해 해당 관청에 방문 예약(termin)을 해야 하는데요. 정말 예약하기 힘든 것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시간은 촉박한데 방법은 없고 정말 당황스러운데요, 이럴 때 쓸 수 있는 최후의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내가 갈 수 있는 관청에 이메일을 보내는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제가 갈 수 있는 관청들 여러 곳에 이메일을 보내봤는데 모두에게서 답변이 왔습니다. 독어는 잘 못하지만 번역기를 돌려 독일어로 보내봤어요.그랬더니 하루도 안되어 답장이 왔어요! 답변받은 곳 중 제일 가까운 곳으로 가서 무사히 전출 신고(압멜둥)를 마칠 수 있었어요. 아마도 독일을 떠날 날이 며칠 안 남아서 답변이 다 온 것이라 추측되지만, 전..
외국에서 아프면 참 서럽죠. 특히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약국도 열지 않고요. 하필 이번 황금 휴일에 갑자기 몸살이 나서 끙끙 앓기만 하다가, 도저히 못 참겠어서 검색을 하다 보니 휴일에 문을 여는 약국을 알려주는 사이트가 있네요. https://www.aponet.de/apotheke/notdienstsuche 바로 이 사이트에서 휴일에 여는 당직약국을 찾을 수 있습니다. 독어만 지원되니 번역기 돌리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거주 지역 우편번호 또는 도시 이름 입력 - "Advanced Search" 누르셔서 원하는 날짜 입력 이 정도만 하고 검색하셔도 내 지역 주변 약국이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여는지 나옵니다. 단, 이 리스트는 변동 사항이 있을 수 있다고 하니 전화를 하거나 몇 개의 후보를 염두에 두..
독일 베를린으로 이직하게 되었습니다.회사에서 도움을 준다 했지만 서류 준비는 본인이 해야 하니 하나씩 챙기고 있었고, 결국 혼자 모든 것을 처리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 대부분 독일 입국 준비로 마음고생 많으실 텐데, 단계별로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른 분들의 블로그 또는 다음 제 글(맨 아래에 링크 있어요)을 참고해 주세요. 10. 집 구하기 (제일 어려움)지금까지 겪은 단계 중 집 구하기가 제일 어려웠어요.집 구하는 과정은 한국이랑 다른데1) 원하는 집을 찾은 후 2) 집주인/중개인에게 ‘집 볼 수 있는 기회(뷰잉)’를 달라고 메시지를 쓴 다음 3) 간택받고 (이때부터 가능성 낮음) 4) 집을 보고 마음에 든다면 또 메시지를 보낸 후 5) 세입자로 간택받기 이런 식입니다. ..
독일 베를린으로 이직하게 되었습니다.회사에서 도움을 준다 했지만 서류 준비는 본인이 해야 하니 하나씩 챙기고 있었고, 결국 혼자 모든 것을 처리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 대부분 독일 입국 준비로 마음고생 많으실 텐데, 단계별로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른 분들의 블로그 또는 다음 제 글(맨 아래에 링크 있어요)을 참고해 주세요. 8. 주거지 등록이제 본격적으로 합법적 거주자가 되어봅니다.숙소 주인 또는 호텔로부터 ‘주거지 등록’에 필요한 서류를 받아 1번 단계에서 예약한 날짜에 예약한 관청으로 향합니다. 예약 후 받은 메일 화면을 관청 근처에서 유니폼을 입은 이들에게 보여주면 어느 건물 또는 몇 층으로 가라고 얘기해줍니다. 도착한 후에는 TVTV 화면에 내 예약번호가 나올 때까..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