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주식에 투자할 때 내야 하는 세금이 다른데요, 심지어 같은 한국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이라도 주식 종류에 따라, 거래 계좌에 따라서도 세금이 다르기도 합니다. 오늘은 한국과 미국 주식에 투자할 때 내야 하는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기본 정보어느 나라 주식에 투자하든 아래 두 세금은 알고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양도소득세 👉🏻 신고 납부양도소득세는 (모든 주식을 판다고 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해외 상장 주식을 팔아 이익이 생기면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해외 주식에 대한 양도소득세는 매해 5월에 신고 후 납부해야 하는데요, 이 글 아래에 자세히 적어놓겠습니다. ✅ 배당소득세 👉🏻 원천징수배당소득세는 내가 갖고 있는 주식의 회사로부터 배당(분배)금을 받을 때 내는 세..
요즘 일반 주식 대신 ETF에 투자하라는 뉴스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주린이부터 경험 많은 투자자까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ETF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꼭 알아야 할 사항들만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0. ETF 개념 ETF(상장지수펀드)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특정 지수(예를 들어, 코스피, S&P500 등)를 추종하는 펀드를 주식시장에 상장시켜 일반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ETF 1주를 매수하면 해당 지수 구성 종목들을 부분적으로 매수하는 효과를 갖게 됩니다. 1. 기준가격 (NAV) 기준가격(NAV)은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를 뜻합니다. 즉, ETF에 포함된 모든 자산 금액(주식, ..
새해가 되면서 여러 신용카드 단종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안 그래도 세금 납부에 유리한 신용카드는 거의 전멸인 상태인데 안타까울 뿐입니다. 먼저 국세 및 지방세에 해당하는 세금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국세개인이 주로 접하게 되는 세금은 '직접세'에 해당하는 항목일 텐데요, 간접세와 목적세는 우리가 인지하지는 못하지만 알아서 정부가 잘 가져가고 있습니다. • 관세 (관세청 관할)• 직접세 : 소득세, 법인세, 종합부동산세, 상속세, 증여세• 간접세 :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목적세 : 교육세, 교통/에너지/환경세, 농어촌특별세 지방세중앙정부에 납부하는 국세와는 달리, 지방세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교통, 복리후생 등의 공공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재원조달 목적으로 지방 정부..
국내외 상장 ETF들이 정말 많은데요.능력자분들이 만들어 놓은 비교 사이트 및 한 번쯤은 참고할 만한 사이트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각 사이트별로 특장점들이 있으니 필요할 때 참고하시면 됩니다.이 글 맨 아래에 사이트별 한 줄 요약 및 바로가기 주소 붙여 놓았습니다 :) 참고로 사이트별 예시는 '미국배당다우존스'를 검색한 첫 화면입니다. ETF Check✓ 운영 주체 : 코스콤 (공동인증서를 만든 그 곳!)✓ 장점 :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음. 뉴스와 종목토론실 없는 네X버 파이낸스 느낌✓ 아쉬운 점 : ETF 비교는 최대 4개까지 지원✓ 처음 사용하신다면 : 기본정보 / 구성종목 / 차트 메뉴를 차례로 둘러보세요 Fun ETF✓ 운영 주체 : 삼성자산운용 (KODEX 상품 만드는 회사)✓ ..
모두가 그렇겠지만 저 역시 자산 관리가 요즘 최대 관심사입니다.사람마다 성향 및 추구하는 바가 다르니 정답은 없고, 또 나이에 따라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으니 돈에 대한 공부는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현재 저는 미국 투자를 주로 하고, 한국 계좌에서는 주로 연금(노후자금) 금액 불리기에 치중하고 있습니다. 각설하고, 연금 불리기 방안을 모색하던 중 ISA계좌에서 레버리지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당장 거래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바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온라인 교육 ✓ 소요 시간 : 약 1시간✓ 비용 : 3천원✓ 접속 방법 : 금융투자교육원 홈페이지 → 이러닝 → 투자자교육 → 한눈에 알아보는 레버지지 ETP(ETF, ETN) Guide*이 글 맨 아래에 바로..
주식하시나요? 그냥 조금 싼 가격에 사서 조금 비싼 가격에 팔고 싶은데 그게 참 어렵습니다. 그런데 주문하려고 보면 주문 종류는 또 어찌나 많은지. 그래서 오늘 싹 다 정리해보려 합니다. 정규장 거래 시간은 9:00부터 15:30 인 것은 다 아시죠. 그런데 정규장 거래 시간 전후로도 거래가 가능하답니다. 한 번 같이 볼까요? (08:30~08:40) 장전 시간 외 또는 시간외종가정규 시장 시작 전 8:30~8:40에 전 영업일 종가로 주문하는 것입니다. 전일 깜빡하고 주문을 못했다 싶을 때 활용하면 좋겠죠. 아니면 어제 장 마감 후 악재가 생겼을 때 이것이 반영되기 전 가격으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규 시간이 아니다 보니 거래량이 적어 체결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어제 마감 가격으로 살래..